본문 바로가기

박성진의 무림통신/박기자의 태권도와 타무도

뛰어난 기술에 비해 통합되지 못해 발전 더딘 합기도

[by 박성진 기자의 무림통신 - 태권도와 타무도] 제4편 합기도  
 
도장의 수를 기준으로 국내에서 가장 성행하는 무술을 꼽는다면 태권도, 합기도, 검도, 유도를 4대 무술로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태권도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다른 세 종목을 모두 합친 것보다도 큰 비중을 가지고 있는 게 현실이다.

그러나 검도의 경우 대한검도계열과 해동검도계열로 나눌 수는 있으나 검이라는 무기를 사용한다는 정체성이 명확하고, 유도의 경우에도 태권도를 능가하는 국제스포츠로서의 위상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합기도의 경우에는 손과 발차기를 한다는 점에서는 태권도와, 무기술을 한다는 점에서는 검도와, 관절기를 한다는 점에서는 유도와 어느 정도 겹치는 부분이 있다. 그렇다보니 자신들만의 정체성을 제대로 확립하지 못하고 대한체육회에서도 인정을 받지 못한 채 수많은 협회들이 난립되어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합기도가 가지는 호신술로서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태권도도 호신술에서 지도하고 있는 기술의 많은 부분을 합기도에서 차용해온 경우가 많다.

합기도가 태권도에 뒤지지 않는 역사적 전통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태권도의 세에 뒤지게 된 이유는 해석에 따라 다양한 의견이 있을 수 있겠으나, 그 중 하나로 합기도의 원류에 대한 불명확성이라고 볼 수 있다.

태권도와 합기도는 모두 그 뿌리를 일본에 두고 있다. 태권도 1세대라고 할 수 있는 이원국, 노병직, 최홍희 등이 유학생으로 일본에 갔다가 후나고시 기친(船越義珍)에게서 쇼토칸 가라테를 배우고 귀국해 오늘날의 태권도가 만들어지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국내 합기도의 창시자라 불리는 최용술(1899~1986)은 일본에 유학생 신분으로 건너갔던 것이 아니다. 고아나 다름없는 상황에서 10세 무렵(1908년) 일본인 부부를 따라 일본으로 건너갔다. 이후 최용술은 1946년 귀국할 때까지 근 40여 년간 일본에서 생활한다. 이때 그의 생활이 어떠했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 한국 합기도의 시조 최용술이 기술 지도를 하고 있다.

한국 합기도계의 주장에 따르면 최용술은 일본에서 생활하던 시절 일본 대동류 합기유술(大東流 合氣柔術, 다이토류 아이키주즈츠)의 대가 다케다 소가쿠(武田忽角, 1860∼1943)를 만나 제자로서 따라다니며 무술을 배워 수제자의 위치에까지 올랐다는 것이다. 다케다가 사망하자 최용술이 귀국해서 대구에서 합기유술을 가르치기 시작한 것이 한국 합기도의 시작이다.

이때 대구에서 배웠던 최용술의 1세대 제자들이 지한재, 김무홍, 김정윤, 서인혁 등이며 이들로부터 현재 한국합기도의 주류인 대한합기도협회, 기도회 등이 시작됐다.

문제는 최용술이 가르친 합기도(유술)와 1세대 제자들에 의해 전수된 합기도에 적지 않은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최용술은 주로 ‘술기’라고 불리는 관절기를 지도했으나 1세대 이후의 제자들은 술기만이 아닌, 발차기, 무기술, 낙법 등에 오히려 치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서 현재의 합기도는 초창기 최용술이 지도했던 합기도와는 큰 차이가 있으며 어느 경우에는 최용술의 비중과 존재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 경우까지 있다. 이러한 이유가 합기도가 단일한 조직으로 통합되지 못하는 이유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최용술이 가지고 있던 기술에 대한 평가만큼은 누구도 부인하거나 폄하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 근대 무술사에서 손가락에 꼽히는 경지에 달한 무술인으로 최용술이 빠질 수 없는 것이다.

그런데 최용술이 이 대단한 기술을 실제로 누구한테 배웠느냐는 점이 또한 아직까지 풀리지 않는 논쟁거리로 남아있다. 한국 합기도계의 주류 견해는 최용술이 다케다 소가쿠의 수제자라는 것이지만, 정작 일본의 대동류 본가에는 최용술에 관련된 기록이 전혀 남아있지 않다. 게다가 최용술이 언급했다는 다케다 소가쿠에 관한 사실이 실제와 다른 경우도 종종 나타나는 것이다.

최용술 본인은 대구에서 처음 합기도를 지도할 때 자신의 무술을 합기유술(아이키 주즈츠)이라고 하지 않고 야와라(柔)라고 말했다고 일부 1세대 제자들은 증언하고 있다. 또한 최용술이 보여준 기술과 현재 일본 대동류 합기유술 본가에 내려오는 기술과도 적지 않은 차이가 있다.

이러한 정황을 종합해 볼 때 최용술이 일본에서 배운 것이 다케다 소가쿠의 대동류 합기유술이 아니라 일본의 많은 유술 유파 중의 하나를 배운 것이 아니겠느냐는 견해가 힘을 얻고 있다.

한국 합기도계가 최용술의 스승이 다케다 소가쿠라고 주장하는 이유의 하나는 한국의 합기도와 이름이 겹치는 일본의 합기도(合氣道, 아이키도)의 창시자 우에시바 모리헤이(植芝盛平, 1889~1969)가 다케다의 수제자 중 한사람이기 때문이다. 한국의 합기도는 일본의 합기도에서 이름을 따왔기 때문에 최용술이 우에시바에 비해 더 먼저, 더 많이 다케다 소가쿠로부터 대동류 합기유술을 배웠고 따라서 합기도의 정통성이 한국에 있다는 주장의 근거로 삼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명확한 사실에 근거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설득력을 잃고 있다.

이러한 불분명한 문제들을 명확히 정리하고 난립한 협회들을 정리, 통합해 대한체육회에 가입해야 한다는 것이 현재 합기도가 가지고 있는 과제다. (끝)

[태권도와 마샬아츠의 오아시스 - 태마시스 -  l www.taema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