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성진의 무림통신/박기자의 태권도와 타무도

택견과 태권도, 서로 주고받은 영향?

[박성진 기자의 태권도 vs 타무도] 제8편 택견


지난 2007년 2월 택견이 대한체육회 정가맹 종목으로 승인됐다. 수년간 서너 개 분파로 의견이 갈려 한 목소리를 내지 못하다가 극적으로 타협에 성공해 이뤄낸 성과라는 점에서 경사가 아닐 수 없었다. 

택견이 대한체육회에 정식으로 가맹되자 불만의 목소리를 내는 일부 태권도인들도 있었다. 특히 당시 대한체육회장이던 김정길 회장이 대한태권도협회장을 겸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집단행동으로 반대의사를 표현하겠다는 태권도인들도 있었다. 구체적 행동으로까지는 이어지지 않았지만 택견을 바라보는 태권도계의 미묘한 시각을 느끼기에는 충분했다.

그렇다면, 택견과 태권도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택견이 일반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에 들어서부터다. 당시 사회 일각과 대학가를 중심으로 우리의 전통문화를 알아보자는 움직임이 일었고 전통문화로서 택견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기 시작했다. 그 후 20~30여 년이 흐른 현재 택견은 씨름과 더불어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무술로서의 인식을 굳혔다.

태권도계에서는 이 택견을 어떻게 볼 것인가, 태권도와 택견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에 대해 여전히 의견이 분분한 상태다. 택견에 대한 인식차이가 태권도사에 대한 인식 차이로 이어지는 것이다.

과거에는 근대 태권도사 이전의 태권도가 택견으로 대표되는 한국 전통 무술의 맥을 잇고 있다는 주장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요즘은 태권도와 택견을 전혀 다른 맥락의 무술로 이해하는 경우가 많다. 어느 경우건 현재의 태권도와 택견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는 점만큼은 부인하지 않는다.

우선 ‘태권도’라는 명칭 자체가 이승만 대통령이 태권도 시범을 보고 “택견이구만”이라고 했다는 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정설로 인정받고 있다. 기술이나 용어에서도 ‘두발당성’, ‘칼재비’ 등이 택견에서 유래했다. 

그러나 그 기술면에서는 상이한 점이 많아 과연 택견에서 태권도로 어떤 기술들이 이어졌느냐에 관해서 의견이 분분하다. 오히려, 택견이 태권도로부터 영향을 받은 점이 더 많은 것처럼 보이는 것이 현실이다. 대부분의 택견인들이 태권도를 먼저 수련한 경우가 많고, 일부 택견 분파의 맞서기(겨루기)의 모습은 태권도 겨루기와 흡사한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택견의 대한체육회 가입을 주도한 대한택견연맹의 이용복 상임부회장도 태권도인 출신이다. 1980년대 초 부산시태권도협회 전무이사를 4년여 간 맡았었다.

여러 면에서 택견과 태권도가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점만큼은 분명하다. 청출어람(靑出於藍)이랄까, 후생가외(後生可畏)랄까. 태권도는 택견에 비한다면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이미 세계적인 무술로 자리를 잡은 상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뭔가 태권도에 부족하다고 느껴지는 부분이 없는 것은 아니다. 이 부족한 부분을 택견을 통해 메울 수는 없을까? 이미 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지금이라도 택견과 태권도가 서로 머리를 맞대고 함께 할 부분이 없지는 않을 것 같다.

[by 박성진의 무림통신]

[태권도와 마샬아츠의 오아시스 - 태마시스 -  l www.taema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