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혜진의 태권도 세상/칼럼-태권도 산책

세계태권도본부라는 국기원에… 왜 ‘사범(師範)’이 없을까?

[한혜진의 태권도 산책] 국기원의 모순 

 

 

국기원은 세계 태권도인의 중앙도장이자 본산이다. 소싯적 지방에서 태권도를 수련하던 아이들은 도장 걸려있는 국기원 사진을 보며 상상했다. 그곳에서 도복을 입고 수련하는 모습을 말이다. 생각만으로도 감격스러웠다. 국내에서도 그랬는데 외국 수련생에게는 얼마나 대단했을까. 

그러나 막상 국기원에 가보면 대부분 실망한다. 사진 속에 국기원은 존재하나 기대했던, 상상했던 ‘그 무엇’이 없기 때문이다. 태권도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다는 기념관은 규모도 작거니와 허름하고 볼품없는 가건물로 되어 실망하기 충분하다. 내국인 수련생도 그러는데 바다를 건너 온 외국인들은 어쩌겠는가. 

열악한 시설은 실은 어쩌면 큰 문제가 아닐 수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세계 태권도 중앙도장에 가르침을 줄 ‘사범’이 없다는 점이다. 태권도 기술 및 수련체계 확립, 지도자 양성 및 교육을 주 업무로 하는 국기원에 사범이 없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대목이다. 

지난달 국기원에서는 올 한해 각종 지도자연수 등을 지도할 강사 임명식과 더불어 이론 및 실습 강습회가 실시됐다. 그동안은 연례행사로 여기고 누가 임명됐는지 정도만 확인할 정도였다. 그런데 자세히 들여다보니 매우 우스꽝스러운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세계태권도본부라고 자임하는 국기원의 태권도 역사와 철학, 기본동작, 품새, 겨루기 등을 지도하는 전임강사와 전임사범이 단 한명도 없었다. 외부 강사로 구성됐다. 그러다보니 강사가 강사를 교육하는 우스운 꼴이 연출됐다. 굳이 외래에서 초빙한 강사라 할지라도 태권도 기술을 가르치는 사범을 ‘강사’로 표현하는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대목이다. 

이종관 전 연수처장이 지난 2011년 7월 퇴직 전까지만 하더라도 국기원을 대표하는 대사범의 역할을 했다. 연중 수많은 국내외 지도자들의 실기연수를 책임지고 세계 각국을 돌며 기술을 지도해 대사범으로 알려졌다. 그런 그가 퇴임하면서부터 국기원에는 사범이 없어졌다. 

이런 칼럼을 쓰게 된 이유도 지난 연말 외국에서 온 한 친구의 의문 때문이다. 국기원에 방문하면 ‘진짜 태권도 사범’에게 ‘진짜 태권도’를 배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그런데 웬걸. 도장의 느낌보다는 썰렁한 경기장만 덩그러니 있어 놀랐다는 것이다. 외국인 지도자연수가 아니면 안 된다. 설사 배우고 싶으면 외부에서 사범을 불러와서 일당을 주고 배울 수밖에. 이 역시 ‘빽’이 없으면 힘들다. 

수년째 국기원 실기강사로 활동하는 사범들도 겉으로 내색을 안 하지만 자부심이 예전만 못하다. 표준화된 기술체계와 이론을 이수 받고 그 다음 연수생과 수련생에게 전파교육이 되어야 하는데 현재는 이 시스템이 전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모두가 아웃소싱 개념에 가깝다. 

한 실기강사는 “태권도의 원소스를 가지고 다양한 기술체계를 연구하고 개발해 전 세계 태권도인에게 보급해야할 국기원에 그것을 시연하고 전파할 사범이 없다. 외부강사가 외부강사에게 가르치는 모순이 어디 있느냐. 부끄러운 일이다. 국기원에 가장 필요한 것은 존경받고 권위를 자랑할 수 있는 사범이다. 그래야 앞으로 태권도가 죽지 않고 살아갈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쯤해서 유도와 비교하지 않을 수 없다. 유도의 종주국 일본에는 ‘강도관(講道館)’이 있다. 창시자 가노 지고로가 만든 유도장으로 태권도의 국기원과 같은 곳이다. 이곳은 세계 각국에서 유학 온 유도 인이 구슬땀을 흘리며 수련을 한다. 유도의 중앙도장에서 수련을 원하면 사전 예약으로 통해 전임사범에게 정통 유도를 배울 수 있다. 

간혹 국기원을 로마에 있는 바티칸 교황청처럼 태권도의 성지가 되어야 한다고 한다. 충분히 그렇게 할 수 있다. 못할 뿐이지. 그렇다면 국기원는 반드시 추기경과 같은 전 세계 태권도인에게 존경받는 사범이 존재해야 한다. 하루아침에 인사에 의해 단행되는 사범이 아닌 수십 년 거슬러 올라와야 할 것이다. 

태권도 중앙도장에서 사범이 사범을 “사범님”이라 부르지 못하고 “강사님”이라고 부르는 현실, 수련하다 막히는 것이 있다면, 언제든 찾아가 가르침을 받을 수 있는 곳이 국기원이 될 수는 없을까.

 

이 글은 필자가 지난 2013년 1월 29일 @무카스미디어에 게재한 칼럼 입니다. 여전히 국기원에는 강사만 존재할 뿐 사범은 우대하지 아니하고, 대우를 하지 않고 있다. 오히려 태권도와 거리가 먼 정치인과 정부 낙하산 인사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위 내용의 저작권은 무카스미디어,www.mookas.com에 있습니다. 따라서 무단전재 및 재배포가 금지되어 있습니다.>

[태권도와 마샬아츠의 오아시스 - 태마시스 | www.taema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