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인류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무술과 의학의 만남은 언제 시작되었나? 우선, 계명대학교 송형석(2001)은 한자의 원래적 의미에서 찾아 아래와 같이 해석했다. 무술의 무(武)자와 무용의 무(舞), 무당의 무(巫), 그리고 의사의 의(醫)자는 매우 밀접한 연관성이 있었다. 원시사회에서 의료행위(醫術)와 주술행위(巫)는 종종 동일시되었다. 초기 인류의 최대 관심사는 자신의 생명에 관한 것이었다. 무당(巫)의 의식과 동작은 대부분 인간의 건강과 관련이 있었다. 질병과 사망에 직면해서 인류는 한편으로 신령의 보호를 애타게 갈구하였으며, 다른 한편으로 질병과 사망에 대항하는 방법을 찾는 데 골몰하였다. 이로서 주술적 행위(巫)는 의료적 행위(醫術)와 밀접한 관련을 맺기에 이른다. 醫를 고대에는 의(毉)로 썼는데 글자 모양으로부터 巫와 醫의 밀접한 관계를 알 수 있다. 당시 사람의 .. 더보기 이전 1 다음